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주식정보] 티로보틱스 주식분석 오늘은 티로보틱스 주식 종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진공로봇 전문기업 티로보틱스는 진공로봇 전문 기업이다. 진공 환경에서 제조되는 반도체와 OLED용 이송로봇이 주력 제품군이다. 진공로봇은 1) 진공 환경유지, 2) 고진공과 고온, 고속, 고하중 공정, 3) 반복 정밀도 가공 등 높은 기술 경쟁력을 요구한다. 3Q21 기준 매출의 85% 이상이 OLED 공정용 물류시스템과 이송진공로봇에서 발생했다. 티 로보틱스는 진공 이송로봇기업으로 일본 업체들과 경쟁하고 있다. 재활로봇과 자율주행물류로봇의 상용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자회사 모션디바이스를 통해 VR, XR 하드웨어 및 장비 부문으로 사업 다각화를 진행 중이다. 1) 로봇 시장 다변화, 2) VR 콘텐츠 강화, XR 시장 진출 기대 IT 공정 및 이송장.. 더보기 [주식정보] 비나텍 주식분석 오늘은 비나텍 주식 종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친환경 에너지 소재/부품 업체 1999년 설립되었으며 슈퍼커패시터(2004년)와 수소연료전지 부품(2019년) 양산 체제를 갖추면서 친환경 에너지 소재/부품 업체로 새롭게 발돋움했다. 신사업인 수소연료전지 사업이 성장하면서 2023년 기준 슈퍼커패시터 매출 비중은 83%(2020년 88%), 수소연료전지 비중은 14%(2020년 8%)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투자 포인트: ①캐시 카우가 될 본업, ②신사업 성장, ③영업 레버리지 ①캐시 카우가 될 본업: 신제품 출시, 신규 시장(AGV 등) 진입으로 2023년 슈퍼커패시터 매출액은 801억 원(2020년 대비 +95%)이 예상된다. 글로벌 슈퍼커패시터 시장은 연평균 22%의 성장이 기대되며 글로벌 중형.. 더보기 [주식정보] 세아베스틸 주식분석 오늘은 세아베스틸 주식 종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영업이익 연결 404억 원, 별도 240억 원으로 기대치 하회할 전망 4분기 연결 기준 실적은 매출액 9,408억원(+34.3% YoY), 영업이익 404억 원(흑자전환 YoY)으로 시장 기대치를 하회할 전망이다. 별도 실적도 기대치에 못 미칠 전망인데, 매출액 5,600억 원(+35.6% YoY), 영업 이익 240억원(흑전 YoY)이 예상된다. 코로나19로 인해 위축됐던 수요산업 생산활동이 회복되지 못하며 세아베스틸 본사 특수강 출하량이 당초 기대치보다 적은 수준을 기록하겠다. 당초 48.9만 톤 출하를 예상했으나 44.7만 톤(-2.8% QoQ, +0.4% YoY)으로 3분기보다도 적은 출하가 전망된다. 2022년 실적 회복을 예상하는 이유 4분.. 더보기 [주식정보] 메드팩토 주식분석 오늘은 메드팩토 주식 종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머크와 MSS-mCRC 병용 임상 3상 공동임상연구 계약 체결 머크와 MSS-mCRC(현미 부수체 안정형 전이성 또는 국소 진행성 대장암) 환자 3차치료제로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백 토서 팁+키트루다’ 병용 임상 3상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2022년 상반기 IND 신청을 거쳐 미국, 한국 등 약 40여 개 사이트에서 500~600명의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이 이뤄질 예정이다. 2022년 말~2023년 초 투약 개시, 2023년 말~2024년 초 중간결과 발표가 예상된다. 공동임상연구 계약에 따라 머크는 키트루다를 무상으로 제공하며, 그 외임 상비용(약 500~600억 원)은 메드팩토가 부담할 예정이다. 이번 계약은 2018년 맺.. 더보기 [주식정보] 보령제약 주식분석 오늘은 보령제약 주식 종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ASH에서 BR2002(BR101801) 혈액암 임상 1a상 결과 발표 13일 ASH(미국 혈액학회)에서 보령제약의 PI3K 감마/델타 및 DNA-PK 저해제 BR2002의 임상 1a상 결과를 구두 발표했다. 말초 T세포 림프종(PTCL) 9명,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DLBCL) 2명, 변연부 B세포 림프종 1명, 총 12명의 혈액암 환자 대상으로 BR2002의 용량설정을 위한 안전성과 효능을 평가했다. 2상 용량은 200mg QD로 정해졌다. 효능은 12명 중 1명이 완전관해(CR), 2명이 부분 관해(PR)를 나타내 ORR 25%(3/12)를 기록했다. PTCL 환자 9명 기준으로는 질병통제율(DCR) 88.9%(8/9)를 나타냈다. 이후 임상.. 더보기 [주식정보] 아모센스 주식분석 오늘은 아모센스 주식 종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아모(AMO) 그룹의 싱크탱크 전자부품 기업, 아모텍의 자회사다. 지난 6월 25일 코스닥시장에 상장됐다. 소재부품 기업으로 다양한 소재와 모듈의 개발 및 생산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제품별 매출 비중(3 Q21 기준)은 무선충전 모듈 40% /차폐시트 32% / LTCC 기판 8% / Lighting모듈 8% / IoT 디바이스 6% 등이다. 주력사업인 무선충전 모듈과 차폐시트 매출의 상당 부분은 모회사 아모텍으로 공급돼 안테나 부품의 기반이 된다. 2022년의 세 가지 성장동력 올해(2021년) 실적은 매출액 570억원(+31%, 이하 YoY), 영업손익은-27억 원(적자 축소)으로 예상된다. 전년대비 개선되겠지만 IPO 당시 기대했던 전망치에는 다.. 더보기 [주식정보] LG디스플레이 주식분석 오늘은 LG디스플레이 주식 종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TV 신규 고객 확보의 시사점: 공급물량(Q) 확보 TV 신규 고객 확보에 대한 긍정적인 보도들이 계속되고 있다. WOLED와 LCD TV 패널 모두 공급한다는 내용이다. 여기서 집중해야 되는 부분은 LCD TV 패널 공급이다. 뉴스 보도에 따르면 LCD TV 공급물량은 400-500만 대 수준이다. WOLED가 아닌 LCD TV 패널 공급에 집중해야 된다는 이유는 안정적인 공급물량(Q) 확보에 있다. TV 패널은 Commodity 성격이 강해서 시장 가격에 따라 실적의 변동성이 크다. 하지만 대규모 물량 주문이 가능한 글로벌 1위 TV 판매업체를 고객사로 확보하면 향후 공급물량의 변동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WOLED 패널 공.. 더보기 [주식정보] 코웨이 주식분석 오늘은 코웨이 주식 종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컨센서스에 부합한 3Q21 실적 3Q21 매출과 영업이익은 9,340억(+16.7% YoY), 1,638억(-2.9% YoY)을 기록하며 컨센서스에 부합했다. 3 Q20 일회성 요인(서비스 매니저 소송 충당금 128억 환입) 제거 시 영업이익 5% 증가했다. 국내는 거리두기 강화에도 불구하고 환경가전 매출 9.5% 증가했고, 렌털 판매량은 16% 늘었다. 해외는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말레이시 아는 7월 락다운 이후 수요가 빠르게 정상화되며 매출 43% 증가했다. 미국은 시판 채널 마케팅 강화에 따라 매출 12% 성장했다. 국내 악재 일단락, 해외 지속 순항 중 국내는 지난 2년 동안 부진했다. 코로나19로 대면 영업에 차질을 빚었고, 인건비 증가와..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8 ···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