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주식정보] 기아 주식분석 오늘은 기아 주식 종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2022 기아 CID 키워드: EV, PBV, OP 2년 만의 CEO 인베스터 데이(이후 CID)를 통해 중장기 전략을 공유했다. 전동화 가속(기존 대비 EV 판매 목표 +36% 상향), 미래 PBV시장 글로벌 1위 선점(25년 20만 대 판매), 26년 OP 10조 원 달성(목표시가총액도 100조 원으로 제시!) 등이 핵심 키워드였다. EV6 성공을 기점으로 EV 라인업 확대 🡪 30F 판매 목표 120만대 30년 기준 EV 판매 목표는 120만대(전체 판매 중 30%)로 21년 판매량 11만 대 대비 10배 이상의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동 시점의 글로벌 EV 수요를 3,000만대로 가정하면 EV M/S 4.0%에 해당한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으.. 더보기 [주식정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분석 오늘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 종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4Q 영업이익 813억원(+6.6%, 이하 YoY), 컨센서스 부합 4분기 실적은 매출액 2.0조원(+14.5%), 영업이익 813억 원(+6.6%)을 기록했다. 컨센서스 영업이익 794억 원에 부합했다. 테크윈, 정밀기계 실적 감소 폭이 컸지만 디펜스 호실적으로 시장 기대치 부합하는 실적을 달성했다. 디펜스 영업이익은 567억 원(+949.4%)으로 증가했다. K-55 관련 충당금 약 100억 원이 환입됐다. 고마진인 해외 수출액은 648억 원(+38.4%)으로 증가했다. 테크윈 영업이익은 매출액 증가(+24.5%)에도 43억 원(-77.2%)으로 감소했다. 물류비, 재료비가 각각 100억 원, 80억 원 증가했다. 정밀기계는 매출액 감소(-.. 더보기 [주식정보] 덕산네오룩스 주식분석 오늘은 덕산네오룩스 주식 종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4분기 매출액 468억 원(+7.6% YoY)으로 컨센서스 하회 4분기 매출액 468억원(+7.6%, 이하 YoY), 영업이익 124억 원(-13.6%)으로 컨센서스를 하회했다. 기저효과 및 중국향 제품 출하 감소로 매출액은 전기대비 20% 감소했다. 감소폭은 컸지만 21년 3분기를 제외하고는 역대 최고 수준의 매출이다. 영업이익률도 26.5%로 양호한 수준으로 유지됐다. 22년 매출액 2,157억 원(+12.7% YoY) 전망 2022년 매출액 2,157억원(+12.7%), 영업이익 571억 원(+13.3%)으로 전망한다. 중화권 물량 감소 및 기존 예상 대비 공급물량 증분이 크지 않은 것을 감안해 실적 추정치를 하향했다. 실적 추정치는 하향 조정.. 더보기 [주식정보] 종근당 주식분석 오늘은 종근당 주식 종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4Q21 Re: 양호한 매출, 다만 일회성 및 판관비 증가로 이익 부진 별도 기준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3,552억 원(+5.4% YoY, 이하 YoY생략), 29억 원(-81.4%, OPM 0.8%)을 시현했다. 컨센서스 대비 매출액은 부합, 영업이익은 컨센서스 264억 원을 89% 하회했다. 큰 폭의 실적 하회는 1) 식약처 조치에 따른 일부 완제품 재고 폐기에 따른 매출원가 증가(약 100억 원), 2) 연구개발비 증가(3 Q21 340억 원→ 4 Q21 508억 원), 3) 코로나19 완화에 따른 광고선전비 등 판매관리비 전반의 증가에 기인한다. 주력 품목들의 견조한 매출 성장이 지속됐다. 대표적으로 케이캡과 글리아티린, 프롤리아 주 등이 각.. 더보기 [주식정보] 씨젠 주식분석 오늘은 씨젠 주식 종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4Q21 Re: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른 호실적 시현 4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4,100억 원(-7.2% YoY, 이하 YoY 생략), 1,999억 원(-22.3%, OPM 48.8%)을 시현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 각각 시장 컨센서스를 7%, 9% 상회하는 양호한 실적이다. 이는 글로벌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진단키트 매출 호조에 기인한다. 특히 일반 스크리닝 제품 대비 ASP가 높은 신드로믹(코로나19+기타 호흡기 질환) 진단키트 수요 확대, 기타 국가 대비 ASP 높은 유럽향 매출 증대가 호실적 달성에 기여했다. 영업이익률 역시 매출 증대 및 원가율 개선에 따라 전분기 대비 6.7% p 증가했다. 원가율 개.. 더보기 [주식정보] 보령제약 주식분석 오늘은 보령제약 주식 종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4Q21 Re: 매출 호조에도 비용 증가 및 상품 확대로 영업이익 하회 별도 기준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1,593억 원(+25.1% YoY, 이하 YoY 생략), 94억 원(+116.6%, OPM 5.9%)을 시현했다. 당사 추정치 대비 매출액은 10.3% 상회했으나 영업이익은 13.1% 하회한 실적이다. 추정치를 상회한 매출액의 배경에는 1) 카나브 패밀리의 두 자릿수 성장(293억 원, +22.6%)이 지속된 가운데 트룰리 시티 역시 35.6% 증 가하며 주력 품목들의 고성장세가 돋보였다. 또한 2) 젬자 역시 일회성 이슈로 4분기 매출이 크게 증가하며 68억원(+128.2%)을 달성했다. 3) 그 외에도 겔포스 수출 증가, 항생제 및 항암제 .. 더보기 [주식정보] 덕산네오룩스 주식분석 오늘은 덕산네오룩스 주식 종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4분기 매출액 495억원(+14.0% YoY) 예상 4분기 매출액 495억원(+14.0%, 이하 YoY), 영업이익 138억 원(-3.7%)이 예상된다. 전년대비 견조한 실적이다. 다만 일회성 성과급 등 이 반영되며 영업이익은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려 대비 낙폭은 과대 2022년 매출액 2,402억 원(+23.7%), 영업이익 614억 원(+18.5%)이 전망된다. QD 디스플레이 수율 이슈, 중국향 소재 출하 비중 감소를 반영해 매출 및 영업이익률을 소폭 하향 조정했다. 실적 우려로 주가는 고점 대비 48% 하락했다. 일부 부정적 요소는 있으나 주가 하락폭이 과도하다고 판단된다. 2021년 매출액 증분은 500억 수준이었던 것으로 추정된.. 더보기 [주식정보] 동아쏘시오홀딩스 주식분석 오늘은 동아쏘시오홀딩스 주식 종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탄탄한 기초체력을 확보하고 있는 국내 제약 지주회사 (구)동아제약이 동아쏘시오홀딩스, 동아에스티, 동아제약 3사로 분할된 후 2014년 지주회사로 전환됐다. 헬스케어 사업부문의 전 영역에 대한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주요 계열사들은 각자 명확한 성장 방향성을 갖추고 있다. 동아제약은 박카스 사업부를 필두로 안정적 캐시플로우 창출하고 있으며, 디엠바이오는 고부가가치 바이오 CDMO사업을 영위해 향후 성장성이 기대된다.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DMB-3115)를 개발 중인 동아에스티와 올리고 CMO 및 mRNA사업에 주력으로 하는 에스티팜 역시 중장기적 성장성이 명확하다. 동아제약/박카스 실적 레벨업과 디엠바이오 지분가치 재평가 기대 박카스 공급가.. 더보기 이전 1 2 3 4 5 ···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