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주식정보] DGB 금융지주 주식분석 오늘은 DGB 금융지주 주식 종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Q21 F 순이익 컨센서스 상승 추세 컨센서스 추가 상승 전망 1Q21F 순이익에 대한 시장 전망치는 지난 1월 946억 원에서 현재 1,000억 원까지 상승했는데 5월 초 실적 발표 시점까지 추가 상승할 전 망이다. 당사가 전망하는 DGB금융 1 Q21 F 순이익은 1,118억 원 (+26.7% YoY)으로 다소 공격적인데 그 근거는 1) 자산 성장률이 당 초 예상보다 높은 3% QoQ 이상이 예상되며, 2) NIM 상승 속도가 가 파르기 때문이다. 상당히 큰 폭의 NIM 상승 예상 + 자본 비율 착시 현상 활용 필요 조달 금리 하락 (리프라이싱) 및 운용금리 개선을 가정하여 1Q NIM 은 전분기 대비 6bp 상승한 1.83%로 예상된.. 더보기 [주식정보] 제이콘텐트리 주식분석 오늘은 제이콘텐트리 주식 종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Q21 연결 영업손실은 79억 원(적자 축소 YoY) 전망 1 Q21 연결 매출액은 855억 원(-17.1% YoY, 이하 YoY), 영업손실은 79억 원(적자 축소)을 전망한다. 컨센서스에 대체적으로 부합하는 실적 이 예상된다. 방송 영업이익은 38억 원(흑자전환)을 전망한다. 주력 드 라마 ‘시지프스’를 포함해 주요 작품들의 상대적 흥행 부진을 감안했 다. 해외 유통 매출액은 견조한 증가세를 지속할 전망이다. 극장은 예상보다 좋다. 1Q21 국내 전체 관람객이 68.0% 감소가 예상되지만 비용 효율화 노력이 상당하다. ATP(평균 티켓 가격)도 상승세 다. 관련 영업손실은 112억 원(적자 축소)이 기대된다. 중앙그룹이 만들어갈 K-콘텐츠의 .. 더보기 [주식정보] NAVER 주식분석 오늘은 NAVER 주식 종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커머스 성장을 위한 전략방향 5가지 3/17 애널리스트 데이를 통해 커머스 성장을 위한 전략방향 5가지를 발표했다. 1) 판매자 설루션 강화, 2) 다양한 구매방식 지원, 3) 멤버십으로 파트너십 생태계 확대, 4) 데이터 기반 온디맨드 풀필먼트 구축, 5) 글로벌 진출이 그것이다. 42만 스마트스토어 가맹점을 5년 내 100만 개까지 확장하는 목표를 가 지고 있다. 2021년 25조 원(+45.3%) 이상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브랜 드스토어도 본격적으로 강화한다. 현재 290개 입점 브랜드를 연내 500개 이상으로 확장하며 다양한 머천트 설루션 도입으로 커머스 선 순환 생태계를 조성할 전망이다. 나아가 일본, 동남아 등에 스마트스 토어를 확장하며 S.. 더보기 [주식정보] JYP Ent. 주식분석 오늘은 JYP Ent. 주식 종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4 Q20 연결 영업이익 105억 원(-22% YoY) 기록 4분기 연결 매출액은 417억원(-6% YoY), 영업이익은 105억 원(-22% YoY)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컨센서스 120억 원, 당사 추정치 111억 원에 비해서 낮았다. 코로나로 인해 오프라인 공연을 할 수 없었기 때 문에 매출액은 감소했다. 콘텐츠 매출의 증가로 매출 하락폭은 소폭에 그쳤다. 4분기에 음반/음원 매출은 47% YoY 성장했다. 국내에서는 스 트레이 키즈 리패키지, 트와이스 정규 2집, GOT7정규 3집 앨범 판매 가 매출에 기여했다. NiziU 매출은 4분기에 50억 원(음반, 음원, 유튜 브) 수준으로 나왔다. 일회성 비용으로는 옵티머스 펀드 손실 25억 .. 더보기 [주식정보] SBS 주식분석 오늘은 SBS 주식 종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Q21 별도 영업이익은 65억원(흑자전환 YoY) 전망 1Q21 별도 매출액은 1,673억원(+3.6% YoY, 이하 YoY), 영업이익은 65억원(흑자전환)을 전망한다. 드라마와 예능 흥행 덕분에 TV광고 매 출액은 5.9% 증가한 532억원이 기대된다. 웨이브 판매를 통한 국내 VOD(주문형비디오) 수익 역시 견조한 증가세다. 코로나19 상황을 감 안한 회사의 유연한 비용 정책도 지속되고 있다. 광고 경기가 예상보 다 빠르게 회복될 경우 드라마 편성은 자연스럽게 증가한다. 콘텐츠의 A부터 Z까지 모든 걸 가지다 IP 공급, 유통, 편성, 플랫폼에 걸친 전 영역에서 강점을 보이는 회사 다. 드라마 스튜디오의 경쟁력 제고와 웨이브 활용을 통한 이익 증가.. 더보기 [주식정보] S-Oil 주식분석 오늘은 S-Oil 주식 종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Q21 영업이익 3,404억 원(+266% QoQ) 전망, 컨센 대폭 상회 1분기 영업이익은 3,404억원(+266% 이하 QoQ)으로 컨센서스 2,024 억 원을 대폭 상회할 전망이다. 정유 영업이익은 1,347억 원(흑자전환, +2,244억 원)으로 대규모 흑자가 예상된다. 분기말 평균 유가가 QoQ 배럴당 15달러 이상 상승하며 큰 폭의 재고평가이익이 발생하고 정제 마진까지 소폭 상승한 영향이다. 화학은 860억원(+18%)의 영업이익이 기대된다. PO 스프레드 강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벤젠, PX 스프레드까지 회복되며 호실적이 예상된다. 윤활기유는 전방 수요 개선과 타이트한 공급에 따른 스프레드 확대가 지속되며 32.6%(+2.2% p)의 견.. 더보기 [주식정보] 삼성 SDI 주식분석 오늘은 삼성 SDI 주식 종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긍정적 요인: 폭스바겐의 각형 배터리 채택 SNE 리서치에 따르면 2020년 전기차 배터리에서 각형, 파우치형, 원 통영은 각각 49%, 28%, 23%를 차지했다. 폭스바겐은 Power Day에서 2023년부터 각형 배터리를 전기차에 탑재와 2030년까지 전기차의 80%에 각형 배터리를 탑재 계획을 발표했다. 전기차용 각형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는 중국 CATL과 삼성 SDI에 긍정적인 요인이다. 2008년부 터 삼성 SDI는 전기차용 각형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어 성능과 원가 측 면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있다. 부정적 요인: 폭스바겐의 대규모 자체 배터리 투자 폭스바겐은 2030년까지 스웨덴 노스볼트와 공동으로 240 GWh 규모의 자체 배터리 라.. 더보기 [주식정보] 삼성전자 주식분석 오늘은 삼성전자 주식 종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Q21 영업이익 8.96조 원(-1.0% QoQ) 전망 1 Q21 실적은 매출액 61.7조 원(+0.2%, 이하 QoQ), 영업이익 8.96조 원(-1.0%)으로 컨센서스(영업이익 8.58조 원)를 상회할 전망이다. 신규 팹 초기 비용과 오스틴 팹 중단 등으로 반도체 실적이 소폭 감소할 전 망이다. 반면 갤럭시 S21 출시 효과 등으로 스마트폰 출하량(7,500만 대)이 예상을 상회하며 IM 사업부 실적이 대폭 개선될 전망이다. 1 Q21 사업부별 영업이익은 반도체 3.75조 원(-2.5%), IM 3.94조 원 (+62.9%), DP 0.33조 원(-81.1%), CE 0.93조 원(+13.8%) 전망한다. 2021년 영업이익 47.0조원(+30... 더보기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다음